전체 글58 어셈블리 leave , ret 뿌시기 leave = move esp, ebp pop ebp : ebp 의 값을 esp에 저장한다. esp가 가리키고 있는 주소값에 들어있는 값을 ebp에 저장하고 , esp = esp+4를 한다. ret = pop eip jmp eip : esp가 가리키고 있는 주소값에 들어있는 값을 eip에 저장하고, esp = esp +4 한다. eip가 가리키는 주소로 간다. 어셈블리 코드를 보면서 돌아가는 과정을 스택 메모리를 그려보며 따라가면 이해하기 쉽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_start: push ebp mov ebp, esp sub esp, 8 mov [ebp-4], 12 lea eax, [ebp-4] mov.. 2019. 7. 28. 솔리디티 자료형 uint = 부호없는 정수 = uint256 int = 부호있는 정수 uint8,16,32 등과 같이 더 작게 표현가능 수학연산 프로그래밍언어의 연산과같음 +) 지수 연산 가능 uint x = 5 ** 2; // 5의2승 // = 25 구조체 구조체를 통해 여러 특성을 가진, 복잡한 자료형 생성가능 struct person{ string name; } 배열 정적배열 : uint[1] array; string[2] stringarray; 동적배열: uint[] array; 구조체의 배열: person[] public people; // public 배열 : getter 메소드 자동생성 - 다른 컨트랙트들이 이 배열을 읽을수 있음(쓸순없음) = 공개 데이터 저장에 유용 함수 생성 function f.. 2019. 6. 21. 스프링의 특징 스프링의 주요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POJO 기반의 구성 내부 객체들의 관계를 구성할때, 별도의 API 사용없이 POJO의 구성만으로 가능합니다. 즉, 여러분은 일반적인 java코드를 이용하여 객체를 구성하는 방식을 스프링에서도 이용할수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 먼저 의존성이란 무엇일까요? 의존성이란 식당의 주방장과 서빙직원을 예시로 설명할수 있습니다. 직원이 그만둔다고 장사를 못하진않습니다. 하지만 주방장이 관둔다면 장사를 할수 없습니다. 이를 보고 식당은 주방장에 의존적이다 라고 볼수 있습니다. 주입은 무엇일까요? 주입이란 말 그대로 외부에서 내부로 밀어넣는것을 의미합니다. 의존성과 주입을 결합하여 생각해 본다면, 어떤객체가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넣는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당에 필.. 2019. 5. 24. 프레임워크 란? 스프링에 대해 배우기전에 우리는 프레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넘어가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프레임워크란 무엇인가? 프레임워크란 간단히 말해, 뼈대 혹은 근간을 이루는 코드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코드들의 집합이 왜 필요한가? 우리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그램의 기본 흐름이나, 구조를 정하고 그 구조에 자신의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미 만들어져있는 코드로 인해 어느정도 품질이 보장될수있고, 개발자는 개발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엔터프라이즈급의 개발이 필요해졌으며, 그에따라 회사들은 어느정도 개발수준이 보장되길 원했을것입니다. 그에따라 프레임워크는 전성기를 맞이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2019. 5. 24.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